도배시공
초배하기
5)부직포(T/C지) 공간초배
초배지에의한 공간초배의 단점인 시공 시간이 많이 걸리는것과 많은 손이가는 것등을 보완하기 위하여 부직포 로 공간초배를 대신하는 시공법이 근래 많이 유행하고있다.
부직포 시공에는 다음 두가지의경우가 있다.
* 온통풀칠도배를 위한 부직포시공.
* 갓둘레풀칠도배(미스바리) 를 위한 부직포시공.
부직포 시공을 위해서는 먼저 벽면등을 게링,코킹.핸디작업.또는 보수초배 시공등의 바탕면 처리를 먼저 행하여야 한다.
부직포시공순서는 일반적으로
*바탕면처리--밀착초배하기(생략해도됨)--치수재기--재단 ---본드및풀칠하기--부직포
시공하기 ---운용지로 부직포위에 초배하기(기둥걸기,싱걸기,갓둘레초배하기,전면 초배하기등등)--2차핸디작업(생략해도됨)--2차운용지 초배하기(생략가능)--건조부직포시공에 쓰는 풀은 된풀을 쓰거나 본드에 바인다를 희석하여 사용한다.
보통 201본드 2봉지에 바인다 를 반병정도를 섞어쓰거나 ,본드만 사용하기도한다.
가).온통풀칠도배를 위한 부직포 시공
(가). 천정
(ㄱ)바탕면 처리 --천정덴조면의 구멍등에 보수초배, 가장자리면에 핸디작업 또는타카못 튀어나온것 정리, 조명등이나 전선 등의 정리를 한다.
(ㄴ) 치수재기--정배시 도배지붙이는 방향과 직각 되는 방향의 길이를 재고 폭수를 계산한다.
(ㄷ) 재단하기 -- *자로잰 치수길이대로 재단 하거나, *150cm 씩 짧게 재단한다.
(ㄹ) 본드및 풀칠하기 --부직포 갓둘레를 5~10cm 정도 되게 본드 또는 된풀칠 한다.
(ㅁ) 시공하기 -- *천정길이대로 길게 치기--정배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시공.
*150cm 씩 짧게 치기
*몰딩이나 벽면에서 5~10cm 정도 띄어 붙인다
(요즘은 부직포 끝선이 정배후에 자죽으로 남는걸 방지하기
위해 몰딩에 맞춰 꽉 차게 붙이는 추세다. )
*부직포의 시공시 갓둘레 풀칠된 부위를 오버 시켜 겹쳐 나가면 서붙인다.
*솔질은 주름진곳이 없게 하고 송곳갈고리등으로 부직포가 천정면에 들러 붙는것( 배꼽진곳)을 떼어준다.
(ㅂ) 초배하기 -- *부직포 시공된 전체에 초배지로 초배를한다(생략해도 된다)
*천정면 가장자리 전체를 뺑돌아 가면서 운용지로 초배한다.
(일명 뺑뺑이 작업. 운용지 폭이 15~20cm 정도)
* 실크정배시에는 이음부위(조인 또는 하구찌)에는 운용지로
(폭 15~20cm 정도) 단지(싱) 걸기를 해준다.
(ㅅ)건조시키기 -- 본드및 초배한것,단지 시공된것 등이 충분히 잘 건조시킨후 정배 해야 하자가 안생긴다.
(나). 벽
(ㄱ) 바탕면 처리 --벽면을 게링작업,석고이음매등에 보수초배,벽면가장자리등에
핸디작업등을 하고 전선등을 정리한다.
(ㄴ) 치수재기 - 시공할 벽면의 길이를 자로잰다.
(ㄷ) 재단하기 - 자로 잰 길이대로 부직포를 재단한다.(벽길이보다 10~20cm정도 작 게 재단하기도 하나 요즘은 벽길이에 꼭맞게 하는게 추세이다.)
*참고 : 별도로 재단을 하지않고 부직포롤을 직접 벽면에 굴려서 시공과
동시에 벽면에 대고 잘라 내기도한다.
(ㄹ) 밀착초배하기 - 부직포를 시공할 벽면에 부직포를 시공하기 전에 초배지를 1차로 밀착초배하기도 한다. (숯초배지,황토초배지등)
(ㅁ) 본드및 풀칠하기 - 벽시공시에는 벽면에 직접 본드를 칠하는 방법을 쓴다.
천정 시공시와 같이 갓둘레에 된풀칠을 하면 시공하기가 편리하다.
(ㅂ) 시공하기 -*시공할 벽면의 양가장자리에 본드와 바인다를 희석하여 칠한다
*벽면 길이대로 길게 치기--하단부위를 먼저붙이고 상단은 하단
부위에 겹쳐지게 시공.
*150cm 씩 짧게 치기--일반적인 초배지공간초배방법처럼 시공.
*몰딩이나 벽구석면에서 5~10cm 정도 띄어 붙인다
(요즘은 부직포 끝선이 정배후에 자죽으로 남는걸 방지하기
위해 몰딩에 맞춰 꽉 차게 붙이는 추세이다. )
* 상,하단의 간격---상단은 몰딩에서 5~10cm 정도 띄우고
하단은 바닥에서15~20cm,굽도리(하바끼)에서5~10cm 띄운다.
*갓둘레 풀칠을 했을경우 풀칠 부위를 오버 시켜 겹쳐 나가면
서 붙인다. (상단과 하단 부직포가 겹치는 부위등)
*솔질은 주름진곳이 없게 하고 송곳갈고리등으로 부직포가 벽
면에 들러 붙는것( 배꼽진곳)을 떼어준다.
*전기스위치등 장애물 둘레에도 본드칠을 하고 장애물 모양에
맞추어 잘라낸다.
(ㅅ) 초배하기 -- *부직포 시공된 전체에 초배지로 초배를한다(생략해도 된다)
*벽면 가장자리 전체를 뺑돌아 가면서 운용지로 초배한다.
(일명 뺑뺑이 작업. 운용지 폭이 15~20cm 정도)
* 실크정배시에는 이음부위(조인 또는 하구찌)에는 운용지로
(폭 15~20cm 정도) 단지(싱) 걸기를 해준다.
(ㅇ) 건조시키기 -본드및 초배한것,단지 시공된것 등이 충분히 잘 건조시킨후 정배 해야 하자가 안생긴다.
나). 갓둘레풀칠도배(미스바리)를위한 부직포시공
(가).천정
(ㄱ) 바탕면 처리 --게링작업을하고 천정 30cm 정도 가장자리면을 보수초배,핸디 작업등을한다
(ㄴ) 치수재기 - 시공할 천정면의 길이를 자로재고, 벽지 이음부위에 연필로 금긋기 표시(일명:히로시)를 하고 분줄로 금긋기를한다
(ㄷ) 재단하기 --자로잰 치수보다 10cm 정도 작게 부직포를 재단한다. 이때 사용하는 부직포는 배접된 부직포로 폭45~55cm 되는것을 쓴다.
참고: 부직포대신 운용지나 초배지를 속지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중네바리 만들때처럼 겉지운용지를 풀칠한다음 풀칠하지않은 초배
지를 속지로 넣어 기둥걸기 시공하면된다.
(ㄹ) 본드및 풀칠하기 --재단한 부직포에 본드나 된풀칠을 가장자리에 5cm 정도로 갓둘레 풀칠을 뺑돌아가면서 하고 주름접기로 부직포를 접어둔다.
***부직포에 갓둘레풀칠 을 안하고 시공하기도한다.
(ㅁ) 시공하기 --* 분줄로 금긋기 된 곳에 부직포를 붙여나간다
* 몰딩이나 벽면으로부터 5cm 정도 띄우고 붙인다.
* 부직포에 갓둘레 풀칠을 하지않고 시공할경우는 ---한쪽끝을
본드로 붙여놓고 다른쪽 끝은 호치켓이나 타카핀으로 임시고정
시켜 놓은다음 초배지를 바를때 솔질하면서 부직포를 팽팽하게
펴지게하면서 호치켓고정된것을 제거하고 본드를칠한다음 운용
지로 초배마무리한다.
(ㅂ) 초배하기 --* 부직포위에 운용지를 덧쒸워 초배한다.(초배지폭65cm 정도)
* 천장면의 가장자리 를 뺑돌아가면서 뺑뺑이를 초배한다.
(ㅅ) 건조시키기 --본드및 초배한것,단지 시공된것 등이 충분히 잘 건조시킨후 정배 해야 하자가 안생긴다.
(나). 벽
(ㄱ) 바탕면 처리 --게링작업을하고 천정 30cm 정도 가장자리면을 보수초배,핸디작업등을한다
(ㄴ) 치수재기 - 시공할 벽면의 길이를 자로재고, 벽지 이음부위에 연필로 금긋기 표시(일명:히로시)를 하고 분줄로 금긋기를한다 자로잰 치수보다 10cm 정도 작게 부직포를 재단한다.
이때 사용하는 부직포는 배접된 부직포로 폭45~55cm 되는것을 쓴다.
참고: 부직포대신 운용지나 초배지를 속지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중네바리 만들때처럼 겉지운용지를 풀칠한다음 풀칠하지않은 초배
지를 속지로 넣어 기둥걸기 시공하면된다.
(ㄹ) 본드및 풀칠하기 --벽면에 쓰는 부직포에는 갓둘레풀칠을 안하고 시공할때
벽면의 상단과 하단부위에 본드칠하여 바른다.
(ㅁ) 시공하기 --*분줄이나 연필로 금긋기된 곳에 부직포를 붙이기위해 상단 및
하단의 끝부분이 되는 곳의 벽면에다 직접 본드칠을 한다.
*몰딩이나 천정면으로부터 5~10cm 정도 띄우고 부직포를 붙인다.
(ㅂ) 초배하기---* 부직포위에 운용지를 덧쒸워 초배한다.(초배지폭65cm 정도)
*벽면의 가장자리 를 뺑돌아가면서 뺑뺑이를 초배한다.
(ㅅ) 건조시키기 -본드및 초배한것,단지 시공된것 등이 충분히 잘 건조시킨후 정배 해야 하자가 안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