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풍수(風水)와 컬러
컬러테라피는 색채가 지닌 영향력이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측면을 자극해 치유하는 기능을 부각
시킨 것으로 오래전부터 인도의 차크라 색채와 중국의 음양오행 색채는 기원적인 색채치유 원리로
활용하고 있다. 이번 호에는 음양오행 색채를 통해 우리 생활환경에서 긍정적인 컬러에너지를 활
용하기 위해 각 요소에 따른 색채의 영향력과 활용에 대한 내용을 소개한다.
긍정적인 에너지를 얻고자 하는 것이 목적
사인 디자인은 공간이나 환경에서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문패와 같이 가장 중요한 기능을 하게
된다. 사인의 컬러는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하기도 하지만 업종이나 업체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동
시에 좋은 기운을 받아들이고 나쁜 기운을 막아내는 구실까지 하므로 더욱 효율적인 효과를 위해
이러한 색채 원리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간은 오랜 세월동안 자연의 효율적인 체계를 활용하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고 그 하나가 바로
풍수(風水)다. 풍수는 바람과 물을 뜻하는 말로 기(氣)의 흐름에 관한 것이다. 풍수를 연구하는
이들은 “환경의 과학”이라고 할 만큼 자연적 현상에서 조화와 균형을 위해 조절해 인간에게 긍
정적인 에너지 즉, 기를 북돋아주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풍수의 원리에는 방향과 계절 등의 자연
환경과 인간의 오장육부인 신체기관과 연결돼 상호작용하고 이를 음양오행으로 구분해 각 요소가
지닌 특징에 따른 색채를 활용하는 것이 음양오행 색채다.
이러한 음양오행 색채에 따라 개인이나 장소, 위치 등에 따라 몸에 좋은 색과 해로운 색이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풍수라고 하면 수맥이나 방향 등에 따른 좋은 기운이 있는 장소에 관한 사례를
흔히 접하듯이 방향과 계절, 기질 등에 따라 도움을 주는 색과 기운을 감소시키는 색채가 있어 이
를 보완하고 조절해 긍정적인 에너지를 얻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풍수는 고대 중국에서부터 원활한 에너지의 흐름을 조성하기 위해 활용한 체계로 현대에서는 의학
에서부터 운동, 예술 등 실생활에서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고 동양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권에까지
전파돼 활성화하고 있다. 이는 우리가 우리들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위치와 우리의 기를 북돋워줄
배치, 색채, 디자인을 결정하는 것을 돕는 원리에서이고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위해 기가 원활히
흐르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풍수의 목적이기도 하다.
난색은 양기, 한색은 음기가 강해
풍수의 원리는 근본적으로 음(陰)과 양(陽)의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것이다. 음과 양은 도(道)를
이원화한 개념으로 자연과 인간 그리고 우주만물이 조화를 이루는 사상에 근간한 개념으로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음은 여성적이고 수동적이며 어두운 반면에 양은 남성적이고 동적이며 밝
음을 의미한다.
음기와 양기가 상호작용해 균형을 이루는 것이 만물의 균형으로 서로 상호의존적 관계로 어느 한
쪽이 지나치거나 모자람 없이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음은 모든 색을 흡수하는 흑색이고 양은
모든 색을 반사하는 흰색을 대표하며 유채색에서 난색은 양기가 강하고 한색은 음기가 강한 것이
특징이다.
음양은 오행요소의 근원으로서 이들과 관련된 색을 나타내주며 이로부터 색의 전체 스펙트럼이 생
겨나는 것이다. 이러한 색을 통해 환경에서 균형과 조화를 이루면서 심리적으로나 생리적으로 치
유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오행색채 - 우주만물을 분류하는 체계
음과 양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해 기의 다양한 발로(發露)를 나타내는 오행요소는 인간을 포함한
우주만물을 분류하는 체계다. 오행은 계절, 방향, 색깔, 사람의 신체기관, 감정 등과 연결해 해석
한다. 중국으로부터 전해진 음양오행 사상에 따르면 우주 만물은 음양과 오행으로 이뤄져 있는데
그 요소들이 서로 균형 있는 통합을 이뤄야 질서를 유지한다고 한다.
중국문화에서 음양오행 우주관은 그 의미가 매우 중요한데, 음ㆍ양 등 2대 원소와 목ㆍ화ㆍ토ㆍ금
ㆍ수 등 오행 요소로 정해져 있다. 오행의 색상들을 통해 상극과 상생관계로 활용하게 되며 건물
내외부의 색채조절에서 의상이나 주변 공간색채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게 된다. 각 요소들은 서로
보완하고 순환하게 된다.
즉, 물은 나무를 자라게 하고 나무는 불을 피우고 그 재가 흙이 되며 땅속에서 금속이 만들어지고
금속은 물을 정화시키게 된다. 오행요소에 따라 각각의 색상 에너지를 지니고 있어 이를 균형 있
게 상호보완해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흰색(金) 공간에 검정(水)과 초록(木)으로만
배색하기보다 검정(水)에 노랑(土)을 더하고 초록(木)에 빨강(火)을 활용해 서로 보완과 균형을
이루게 한다.
토(土)는 중앙에 위치하며 풍요와 황금의 색인 황색, 목(木)은 동쪽에 위치하며 창조와 생식의 색
인 녹색, 금(金)은 서쪽에 위치하며 깨끗함과 순결을 나타내는 자연 그대로인 백색, 화(化)는 남
쪽에 위치라며 따뜻함과 만물의 무성한 부를 상징하는 적색, 수(水)는 북쪽에 위치하며 암울한 세
계를 상징하고 흑색은 만물의 생사를 관장한다.
중국 역대 황제의 상징적 색깔인 노랑은 세계의 중심을 나타냈으며 이는 한국과 일본, 아시아 각
국에 전해졌다. 우리나라 역시 음양과 오행색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오행은 기의 증진과
조화를 도모할 수 있는 초자연적인 수단으로 서로 영향을 미치고 정해진 주기에 의해 상생(相生),
상극(相剋)한다.
오행은 상생주기가 있는데 불은 흙을 생성하고 흙은 쇠를 생성하고 쇠는 물을 생성하고 물은 나무
에 양분을 공급하고 나무는 불의 기운을 북돋워 준다. 오행은 상극주기가 있는데 나무는 흙의 기
운을 빼앗고 흙은 물의 흐름을 방해하고 불은 쇠를 녹이고 쇠는 나무를 깎는다. 이러한 오행색상
론을 옷, 음식, 사고에 적용해 육체의 질병과 정서적 불균형을 치유할 수 있다.
목(木) - 녹(綠)색 : 새로운 사업, 성장, 부, 발전
봄과 성장을 의미하는 목(木)의 기운은 기본적으로 양의 속성이지만 세부적으로는 음과 양의 속성
을 지니고 있다. 이중 양의 속성으로는 포용력이 있고 성장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반면
에 음의 속성은 참을성이 없고 마무리가 약하다. 그 특징은 직관적이며 아이디어를 설계하는 에너
지를 지니고 있으며 방향은 남동쪽이다.
목의 기운을 상징하는 색상은 녹색으로 방향은 동쪽과 남동쪽이며 계절은 봄으로 생성, 성장과 동
시에 차갑지도 따뜻하지도 않는 중용을 상징하는 색이고 형태는 수직적으로 안정적이기에 대립이
심한 곳이나 불안정한 곳에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반면에 초록의 지루함에 활력을 주고자 한다면
화(火)의 기운인 빨강을 함께 활용하면 균형을 이룰 수 있다. 목의 기운을 강화시키고자 한다면
선명하고 강한 초록과 수(水)의 기운인 검정을 더할수록 효과적이다. 목(木)의 기운을 도와주는
색은 초록, 파랑, 검정이며 나무재질이나 수족관 등을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화(火)의 기운을 지닌 빨강은 목의 기운을 더욱 강화시켜주고 반면에 금(金)의 기운을 지닌 흰색
과 토(土)의 기운을 지닌 노랑은 감소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동쪽이나 남동쪽 방향에
지나치게 많은 흰색과 노랑을 활용하면 목의 기운이 감소하게 된다. 목의 기운을 적용하는 부분은
기둥, 탑, 나무, 초록색 벽 등에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즉, 높고 좁은 형태로 나무와 식물들로 이
루고 새로운 아이디어나 새 출발에 효과적이다. 적합한 업종은 원예 관련, 예술가, 창업업종, 제
조업 등이다.
화(火) - 적(赤)색 : 역동적, 외향적, 진보적, 명예
화(火)의 기운은 양의 속성으로 방향은 남쪽이며 음의 기운은 없으며 여름과 불의 기운으로 따뜻
함과 추진력이 있으며 열정적이다. 반면에 인내심이 부족하고 공격적이다. 이러한 화의 기운을 지
닌 적색은 전통적인 의미는 밝음, 고귀함이다. 방위는 남쪽, 계절은 여름, 신체의 장기는 심장을
뜻한다.
예로부터 붉은 색은 사회적 위상이 높아 왕과 왕족 등 위한 신분의 사람들이 입는 옷이나 궁궐의
솟을대문, 왕비의 가구 등에만 쓰였다. 빨강은 그 영향력이 커지면 명성에 도움이 되기에 대중적
으로 널리 알리고자 할 때 활용한다. 같은 빨강색이라 해도 흰색을 혼합해 채도를 낮춘 연한 색은
화(火)의 기운이 낮아지게 된다. 반면에 토(土)의 성질을 지닌 주황색 계열은 화의 기운을 도와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역동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검정을 혼합한 적갈색은 수(水)의 기운이 포함돼 지나친 화의 기운을 차분하게 조절해 풍요로움을
상징하게 된다. 반면에 목(木)의 기운을 지닌 초록이나 파랑을 더하며 화의 기운이 감소하게 된
다. 그러나 혼합하지 않고 배색할 때는 서로 보완적이고 감소하는 색이 달라진다. 화의 기운을 가
장 도와주는 색은 빨강, 초록, 노랑이며 반면에 감소시키는 색은 검정과 흰색이다. 화의 에너지를
높이고자 한다면 녹색의 화분이나 소품을 활용하거나 주황이나 노랑의 소품을 함께 활용하게 되며
조화를 이루게 된다. 화의 기운은 뾰족한 건물이나 지붕으로 생산과 역동성이 있는 공장이나 판매
업이 좋으며 홍보나 마케팅 관련업에도 효과적이다.
토(土) - 황(黃)색 : 지적, 교육, 결혼, 애정
중앙에 위치하고 땅의 기운을 지닌 토(土)는 비옥한 환경을 상징하며 모든 생물을 도와주게 된다.
참을성과 착실한 반면에 예민하고 세심하다. 기본적으로 음의 속성을 지니고 있으나 양의 속성은
수용적인 것으로 생산적이고 결실을 나타내며 방향은 남서쪽이다. 음의 속성으로는 정적이며 시작
하는데 있어 준비하고 지원을 제공하는 에너지를 지니고 있으며 방향은 북동쪽이다.
황색의 어근은 땅을 의미하는 것으로 중앙과 권위를 뜻하는데 여기에는 땅이 평평하며 습기가 있
어 만물이 잘 자라는 곳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토의 노랑은 중앙에 위치해 북동쪽과 남서
쪽으로 노랑이 강할수록 토의 기운이 강화된다. 노랑은 지적인 능력을 강화시켜 주기에 학습이나
음식과 관련한 업종에 효과적이다.
노랑에 화(火)의 기운인 빨강을 더해지면 더욱 활동적인 공간이 되고 금(金)의 기운의 흰색을 더
하게 되면 토의 기운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반면에 목(木)의 기운인 녹색, 수(水)의 기운인
검정을 함께 활용하면 토의 기운이 감소하고 상충하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피하는 것이 효과적이
다. 토의 기운을 높이기기 위해 적용하는 부분은 일직선으로 둘러진 산울타리, 직사각형 건물, 테
라코타 벽이 효과적이다. 토의 기운은 직사각형 모양이고 지붕이 평평해 안정적이다. 양육과 관련
해 농업이나 보관업, 주택공급업 등이 적합하다.
금(金) - 백(白)색 : 새로운 시작 , 금융계, 인복
금(金)의 기운은 기본적으로 음의 속성으로 내적이면서도 외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고 방향으로는
서쪽이며 금융계통에 적합하다. 양의 속성으로는 창조적인 것으로 힘과 부동성을 나타내며 방향은
북서쪽이다. 금의 기운은 안내자 기능을 하며 의사소통, 아이디어가 있는 반면에 슬프고 비관적이
며 융통성이 없다. 백색은 민족애, 순결, 평화, 고향 등을 상징하며 음양오행 사상에서는 방위로
서쪽, 계절로 가을, 신체 장기로는 폐장을 의미한다.
예로부터 우리 민족은 정결과 평화를 뜻하는 흰옷을 숭상했기 때문에 ‘백의민족(白衣民族)’이라
불렀다. 우리는 햇빛을 백색으로 인식해 태양, 신성을 상징하는 뜻으로 쓰기도 했다. 금의 기운을
지닌 흰색은 서쪽과 북서쪽에 해당하며 성질이 차고 견고해 안정감과 늦가을의 풍성함을 지니고
있고 형태는 원만한 원형이나 돔형이다.
반면에 흰색을 지나치게 많이 활용하면 고독과 우울함을 주게 되므로 다른 색과 조화가 필요하다.
금의 기운을 도와주는 토(土)의 노랑을 함께 활용하면 효과적이고 수(水)의 기운인 검정과 파랑을
함께 활용하면 금의 기운을 강화할 수 있다. 금의 기운은 둥글거나 돔 형태로 통합과 이득을 암시
하며 이러한 땅에서는 연료, 광물, 가스가 추출된다. 따라서 금속공예, 보석 관련 업종에 사용하
는 것이 효과적이다.
수(水) - 흑(黑)+청(靑)색 : 은밀한 조사, 직업
수(水)의 기운은 음의 기운으로 방향은 북쪽이고 양의 속성은 없다. 겨울과 물의 성질로 유동성과
친화력으로 이해심과 융통성이 있는 반면에 긴장, 두려움, 예민한 편이다. 검은 색은 신격(神格),
물, 북쪽, 겨울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흉례에 많이 사용된다. 수의 기운은 검정과 파랑색상을
지니고 있으며 유동적인 성질을 지니고 있어 느긋함이나 긴장을 가라앉히고 차분한 성질을 지니고
있는 편이다.
심장의 박동을 느리게 하고 혈압을 낮추게 하는 효과가 있어 스트레스와 긴장을 풀어주고 차분하
게 대화를 나누거나 숙면을 취할 때 효과적이다. 이러한 성질로 인해 화(火)의 기운이 강할 때 검
정과 파랑을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수의 파랑이나 검정에 흰색을 더하게 되며 연한 회색이나 밝은
파랑이 되므로 수의 기운이 약해질 수 있다. 즉 회색이나 연한 파랑계열은 수의 기운이 약하다는
것이다.
반면에 수의 기운을 도와주는 색은 파랑, 흰색, 초록이며 노랑과 빨강은 수의 기운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수의 기운을 높이기 위해서는 금속제품이나 보석류를 활용하며 효과적이고 형태는 사각형
이 좋으며 수족관이나 어항등 물을 이용한 소품을 활용하면 효과적이고 불규칙한 형태로 흐름과
관계형성을 암시하는 주변 환경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암시하므로 통신업, 전기업, 음료업, 치료사
에게 적합한 컬러다.